최근 1인 가구 증가추세에 맞춰 건설사들이 앞다투어 공급하고 있는 주거형태가 있죠? 바로 도시형 생활주택입니다. 아파트나 오피스텔과 달리 청약통장 없이 분양받을 수 있고, 전매제한 등 규제에서도 자유로운 편이라 투자자들에게도 인기가 높은데요. 이번 시간에는 도시형 생활주택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시형 생활주택이란 어떤 주택인가요?
도시형 생활주택은 300세대 미만의 국민주택규모에 해당하는 주택으로서 단지형 연립주택, 단지형 다세대주택, 원룸형 주택으로 구분됩니다. 다만, 원룸형 주택은 세대별 주거전용면적이 14m2 이상 50m2 이하인 주택이어야 합니다.
도시형 생활주택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우선 주차장 설치기준이 완화되어있어요. 전용면적 60m2당 1대였던 기존 공동주택(아파트,연립)과는 달리 도시형 생활주택은 150세대 미만이면 적용되지 않아요. 또한 건축물 용도상으로는 ‘공동주택’이지만 주택법 상에서는 ‘준주택’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발코니 확장 및 바닥난방 허용 범위가 넓어요. 그리고 입주자 모집공고 승인절차가 생략되고 재당첨 제한 규정도 적용받지 않기 때문에 실수요자뿐만 아니라 투자자들에게도 매력적인 상품이죠.
도시형 생활주택의 단점은 무엇인가요?
가장 큰 단점은 아무래도 세대수가 적기 때문에 커뮤니티 시설이 부족하다는 점이에요. 최근 지어지는 도시형 생활주택 중 일부는 수영장, 피트니스센터 등 고급 커뮤니티 시설을 갖춘 곳도 있지만 아직까지는 대부분 소규모이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들을 기대하기는 어려워요. 하지만 그만큼 저렴한 가격에 내 집 마련이 가능하니 이 점도 고려해야 하겠죠?
요즘 부동산 시장 트렌드라고 하면 단연코 소형 평형이라는 말을 빼놓을 수 없는데요. 특히 서울 지역 같은 경우에는 대형평형보다는 소형평형 위주로 수요가 몰리고 있다고 해요. 그래서 그런지 정부에서도 도심지역에 다양한 형태의 소형주거시설을 공급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구요. 따라서 향후 몇 년간은 도시형 생활주택의 인기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자신에게 맞는 조건의 도시형 생활주택을 선택한다면 보다 합리적인 금액으로 좋은 입지의 매물을 얻을 수 있겠죠? 지금까지 도시형 생활주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