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족간 부동산거래 상속, 증여, 세금 알아보기

가족간 부동산 거래시 주의해야할 점들이 몇가지 있죠? 특히나 부모님께 물려받은 재산이라면 더욱 신경써야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가족간 부동산 거래시 유의사항과 절세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모님에게 아파트를 받을 때 내야하는 세금은 어떤것이 있나요?
우선 증여세입니다. 직계존속으로부터 받는 경우 10년 동안 5천만원까지는 공제받을 수 있고 초과되는 금액에 대해서는 증여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그리고 취득세 및 등기비용 등 부대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증여세 신고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증여세 신고기한은 증여일이 속한 달의 말일로부터 3개월 이내이며 기한 내에 신고하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기간내에 신고하지 않으면 무신고가산세(20%)와 과소신고가산세(10%)가 부과됩니다. 또한 상속세 조사대상자로 선정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부동산 매매계약 후 잔금 지급전에 명의변경해도 되나요?
매매계약 이후 소유권이전등기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녀명의로 변경한다면 이는 증여로서 증여세 과세대상이 됩니다. 다만, 대금수수사실등 자금출처가 확인되고 다른 사람 이름으로 계약했다가 다시 이전받는 경우라면 양도소득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가족간 부동산 거래시 유의사항과 절세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좀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www.korealinker.com/